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MO 연구시설 점검사항 ‘동물 연구시설’ 편

카테고리 없음

by 남혁진 2024. 8. 27. 04:47

본문

 

#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를 위해 연구시설 점검사항 숙지는 매우 중요한 사안임

# 시험・연구용 LMO 연구시설 점검 사항 중 동물 연구시설의 추가 점검 사항들을 톺아봄

# 동물 탈출 방지를 위한 구역 분리, 생물학적 제제의 안전한 처리, 비상상황 대처 등


안녕하세요, 제5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LMO Safety 기자단 남혁진입니다. LMO 연구는 생명공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LM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인류의 건강과 번영에 큰 역할을 하고 있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는 실험동물들의 희생을 기리는 위령비도 볼 수 있는데요.

 

대표사진 삭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있는 실험동물위령비 ©남혁진

 

위령비를 보고 있노라면 실험동물들을 다룰 때 정해진 절차를 철저하게 지키고, 항상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겠다고 다짐하곤 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시험・연구용 LMO 동물 연구시설에서의 안전 관리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이번 기사에서는 LM 동물을 사육 또는 실험하는 동물 연구시설에서 공통적으로 준수해야 할 점검 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

동물 연구 구역과 일반 실험 구역의 분리

출처 입력

대표사진 삭제

동물 연구 구역과 일반 시험 구역은 철저히 분리해야 한다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동물 연구시설의 가장 기본적인 점검 사항은 동물 실험구역과 일반 실험구역을 철저히 분리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는 교차 오염을 방지하고 동물이 연구시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수적인 조치인데요.

 

대표사진 삭제

사육시설에서 실험을 병행하는 것은 금지된다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기본적으로 동물 실험은 일반 실험구역과 분리된 별도의 실험 공간에서 진행돼야 하며 사육시설에서 병행하는 것 역시 금지됩니다. 또한, 동물시설 내 사료 및 깔짚 등의 저장을 위한 별도의 격리된 공간이 마련돼야 합니다.

생물학적 제제의 안전한 관리

출처 입력

다음으로 동물 연구시설에서는 생물학적 제제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야 합니다. 생물학적 제제는 연구자가 감염될 수 있는 병원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유출을 막는 것이 정말 중요한데요.

 

대표사진 삭제

생물학적 제제의 종류 및 개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이에 생물학적 제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시설 내에 안전한 저장 공간을 마련하고, 제제의 보유 수량 및 입・출입을 기록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생물학적 제제가 연구자나 환경에 미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동물 탈출 방지 시설 및 케이지 관리

출처 입력

추가적으로 동물 연구시설에서는 동물 탈출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가 반드시 갖추어져야 합니다. 지난번 기사를 통해 설명해 드렸던 LMO 생물 사례 사고 중 하나가 바로 ‘LM 동물의 탈출로 인한 환경유출 사고’인데요.

 

대표사진 삭제

LM 동물을 다루는 연구 시설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남혁진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육 중인 동물의 크기와 특징을 고려하여 적합한 탈출 방지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출 방지 설비는 연구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설계돼야 하며, 내구성 역시 항상 점검해야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실험 동물을 운반하는 케이지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비슷한 개념에서 동물을 운반하는 케이지 역시 동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요. 이와 동시에 청소와 소독이 용이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고, 실험동물이 쾌적하게 지낼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동물 반입 및 폐기물 관리

출처 입력

다음으로 LMO 동물을 연구시설로 반입할 때는 전용 용기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동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반드시 전용 용기를 사용해야 된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용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운송 해야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동물 연구시설 점검 사항은 철저히 관리돼야 한다 ©남혁진

 

또한, 실험 후 발생하는 오염 폐기물은 반드시 뚜껑이 있는 밀폐 용기에 보관해야 하며, 폐기 전까지 안전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실험 과정에서 사용된 사육 장비와 케이지는 반출 전에 생물학적 활성 제거 과정을 거쳐야 하며 멸균된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LM 동물 식별 표시

출처 입력

시설 못지않게 LM 동물을 관리하는 방법 역시 중요합니다. LM 동물은 반드시 종류별, 계통별, 성별 등으로 철저하게 구분해 별도의 케이지에서 사육해야 합니다. LM 동물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으면 혼선이 생길 수 밖에 없고 자칫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반드시 점검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대표사진 삭제

LM동물 식별 표시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아울러 LM 동물은 획득하거나 태어난 지 72시간 이내에 유전자변형동물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개체나 케이지 등에 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담당 연구자 외의 사람들도 혼선을 겪지 않고 LM 동물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험장비 및 사육 장비의 소독

출처 입력

LM 동물을 이용한 실험을 마쳤다면 사용된 동물 케이지와 사육 장비는 사용 후 소독 및 멸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3~4등급의 연구시설에서는 훈증 또는 고압 열처리를 통해 철저한 멸균이 필요합니다.

 

이후 이러한 기자재들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충분히 넓은 공간에 분리 보관되어야 합니다. 이는 생물학적 위험을 줄이고 연구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반드시 점검하셔야 하는 사항입니다.

비상조치 매뉴얼 및 기록 관리

출처 입력

마지막으로 LM 동물이 탈출했을 경우를 대비해 비상조치 매뉴얼을 마련하는 것도 필수적입니다. 연구 종사자들은 이 매뉴얼을 숙지하고 동물 탈출했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동물이 케이지 밖으로 탈출했다면 즉시 포획해 생물 안전 관리 책임자에게 보고하는 절차를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유전자변형동물의 사용 및 반출에 대한 기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LM동물 관리 대장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이상으로 LM 동물을 다루는 연구시설에서 점검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LMO 동물 연구시설의 점검 사항들은 연구자와 환경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사항들로 구성돼 있었는데요.

 

이러한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연구 수행의 밑바탕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LMO 동물 연구를 수행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러한 점검 사항들을 잘 체크하시고 준수하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제5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LMO Safety 기자단 남혁진이었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